경기도청소년수련원 환경개선
수련원·캠핑장 이용객들의 길찾기 경험 개선
경기도청소년수련원 주요 이용객들의 길찾기 경험을 개선하기 위해 시설 안내 디자인 시스템 가이드라인을 설계·개발했습니다.
Service, Space
CHALLENGE
운전자와 보행자 모두가 읽기 어려운 사이니지
경기도청소년수련원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수련활동 및 체험프로그램을 제공하고 도민을 대상으로 캠핑장을 운영하는 공공기관으로, 학교 등 청소년 단체 이용객과 가족 단위의 이용객이 주로 방문합니다.
넓은 부지와 복잡한 동선, 노후된 웨이파인딩(wayfinding) 시스템으로 인해 이용객들이 길찾기에 불편을 겪고 있으며, 이에 따라 보다 직관적이고 효율적인 방향으로의 개선 필요성이 제기되었습니다. 특히 운전자와 보행자 대상 안내가 혼재된 환경, 정보 전달의 일관성 부족, 시설 전반적으로 사이니지(signage) 가시성 저하 등이 이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습니다.
비저블엑스는 새로운 안내 디자인 시스템 가이드라인 개발을 통해 이용객들의 길찾기 경험을 개선하고, 차량과 보행자가 혼재하는 구간에서 보행자 안전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했습니다.
넓은 부지와 복잡한 동선, 노후된 웨이파인딩(wayfinding) 시스템으로 인해 이용객들이 길찾기에 불편을 겪고 있으며, 이에 따라 보다 직관적이고 효율적인 방향으로의 개선 필요성이 제기되었습니다. 특히 운전자와 보행자 대상 안내가 혼재된 환경, 정보 전달의 일관성 부족, 시설 전반적으로 사이니지(signage) 가시성 저하 등이 이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습니다.
비저블엑스는 새로운 안내 디자인 시스템 가이드라인 개발을 통해 이용객들의 길찾기 경험을 개선하고, 차량과 보행자가 혼재하는 구간에서 보행자 안전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했습니다.


APPROACH
혼란을 줄이는 사용자 중심의 길찾기 설계
우리는 문제 해결을 위해 수련시설 이용객과 캠핑장 이용객의 주요 동선을 각각 관찰하고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실시하여 실제 이용 환경에서 발생하는 불편 사항을 면밀히 분석했습니다. 이를 통해 캠핑장 진입 동선의 혼선, 차도와 보도의 혼재로 인한 보행자 안전 위협, 노후된 시설안내도의 정보 전달력 저하, 그리고 운전자와 보행자용 표지판 각각의 시각 체계 일관성 결여라는 문제를 확인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차겸용도로를 명확히 표시하고, 일관된 디자인 체계를 적용한 사이니지 시스템을 구축했으며, 사용자 현 위치를 중심으로 길찾기가 용이하도록 시설안내도의 방향과 실제 건물들의 방위가 일치하도록 설계했습니다. 또한 디자인 현장 적용 전 프로토타이핑(prototyping)을 통해 사용성을 평가하고 개선하는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OUTCOME
누구에게나 친절한 길찾기 사이니지
기존의 이원화된 표지판을 하나로 통합하여 정보 전달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사용자 중심으로 재구성한 정보는 방문객들의 길찾기 경험을 개선해 민원을 현저히 감소시켰습니다. 보차겸용도로는 아이콘으로 표시하고 기존 헷갈렸던 차량 통행 가능 구간은 초록색으로 도색하여 운전자의 진입가능여부 혼란을 최소화했으며, 보행자 안전을 위해 노면 사이드에 황색 실선으로 안전구역을 설정해 시각적으로 명확한 안전 구분을 제공했습니다. 또한 시설 내부에도 긍정적인 길찾기 경험을 위해 모든 사이니지에 일관된 시각 시스템을 적용하고, 예산 상황에 따라 순차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마련했습니다. 이를 통해 경기도청소년수련원을 처음 방문하는 이용객들도 헤매지 않고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게 되었고,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시설 전반에서의 일관된 정보 경험을 통해 공간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형성되었고 이용 만족도가 높아졌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이글을 SNS로 공유해 보세요.